본문 바로가기

조선임금5

조선 7대 임금 <세조> (1455 - 1468) 의 둘째이자 의 삼촌 수양대군으로 더 알려진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된 야심가 조선 7대 임금 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 2020. 9. 24.
조선 6대 임금 <단종> (1452 - 1455) 의 아들 정치적 야심에 희생되어버린 가장 비극적인 운명이었던 조선 6대 임금 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 단종은 문종과 왕세자빈이었던 현덕왕후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나 몸이 약한 현덕왕후가 단종을 낳은 지 하루 만에 산욕으로 세상을 떠났다. 모후가 죽자 어린 세손을 가련히 여긴 세종은 소헌왕후와 의논하여 자신의 후궁인 혜빈 양씨에게 어린 단종을 부탁했고, 세종의 후궁으로 조모뻘인 혜빈 양씨의 보살핌 아래에서 성장하였다. 1448년 8살이 되던 해에 왕세손으로 책봉된 단종은 할아버지 세종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다. 병중이었던 세종은 자신이 그리 오래 살지 못할 것을 예감하고 있었으며, 병약한 아들 문종 역시 오래 살지는 못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늘 어린 손자 단종을 몹시 걱정했다. 문종마저 요절하고 나면 야.. 2020. 9. 24.
조선 5대 임금 <문종> (1450 - 1452) 의 첫째 성품이 온화하며 학문을 좋아했던 왕으로 재위 2년만에 짧은 생을 마친 안타까운 임금 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 아버지 세종을 닮아 현명하고 지혜로웠던 세종의 맏아들이자 소헌왕후의 장자로 태어났습니다. 8살에 세자로 책봉되어 약 30년간 세자로 지내며 세종의 업적에 큰 기여를 한 왕입니다. 세종이 남긴 위대한 업적에는 아들 문종의 노력도 크게 작용하였습니다. 측우기와 관련된 기록을 살펴보면 세자 시절 비가오면 땅을 파서 빗물에 젓는 정도를 기록하던 세자 이향이 구리 그릇에 빗물을 받아 양을 쟀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측우기는 장영실 작품이 아닌 문종의 업적이라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이처럼 어린 나이에도 사려 깊고 아버지처럼 학문 공부에도 열심히 했던 준비된 조선 5대 왕이었습니다. 이향은 세종과 소.. 2020. 9. 23.
조선 3대 임금 <태종> 이방원 (1400 - 1418) 의 셋째 조선 3대 임금 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구세력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세자책봉에 불만을 품고 정도전 등을 살해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즉위 후, 의정부,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최고의 법사인 의금부도 설치하였다. 자 유덕.휘 방원.태조의 5남.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이 되고, 후에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신진정객들을 포섭하여 구세력의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다. 1388년 정조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1392년(공양왕 4) 정몽주를 제거하여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혔으며, 같은 해 이성계가 조선의 태조로서 등극하자 정안군에.. 2020. 9. 22.
조선 26대 임금 <고종> (1863 - 1907) 조선 26대 임금 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재위 1863∼1907). 1863년 철종이 재위 14년 만에 33세의 나이로 창덕궁에서 죽자, 대왕대비 조씨는 흥선 대원군의 둘째 아들인 명복을 임금으로 결정 했다. 철종이 승하한 지 5일만에 고종이 창덕궁 인정전에서 도선 26대 왕으로 등극했다. 알려진 사실 이지만 혈통으로만 따지면 고종은 왕위에 오르기 힘든 위치였다. 명복(고종)은 대왕대비 조씨의 양자로 입적 되어 12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1907년에 일제의 압력으로 물러났다. 명성황후와 대원군의 세력다툼 속에서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내정 간섭을 겪었다. 개화, 수구의 양파가 대립하였고, 병자수호조약, 한·미, 한·영수호조약 등이 이루어졌다. 외세의 침.. 2020. 9. 21.